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공시지가 조회방법

by 종이곰이 2025. 2. 13.
반응형

우리나라엔 재산세, 양도소득세,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이 참 많습니다.

그리고 이 세금들은 공시지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오늘은 공시지가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가장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토지 공시지가 조회방법

 

 

공시지가란?

공시지가란 정부가 정하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산정된 토지의 가격을 말합니다. 매해 정부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토지 가액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아파트는 공시지가가 아닌 공동주택가격으로 구분합니다.

그럼 공시지가 기준일에 대해서 아래에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공시지가 기준일

공시지가의 기준일은 매년 1월 1일입니다. 1월 1일을 기준으로 토지의 가격을 정해서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하는 방식입니다. 공시지가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1월 1일 이후에 있는 공시지가 조회 기간에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 조회기간에 대해서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공시지가 조회 기간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는 기간은 3~4월 이후입니다. 1월 1일을 기준으로 정한 공시지가를 3~4월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공시지가를 정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집이나 땅을 사거나 갖고있다면 취득세나 재산세와 같은 세금을 매겨야하는데, 부동산 가격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나라에서도 국민에게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금액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공시지가 조회 방법

공시지가를 조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일 첫번째로 근처 행정복지센터(읍 면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는 방법입니다.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공시지가를 담당하는 직원에게 찾아가면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에 방문하지 않고 공시지가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시지가는 인터넷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공시지가 조회"를 입력후 검색 후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면 주소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소를 입력한 뒤 조회버튼을 누르면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 접속해 상단 메뉴에서 "표준지공시지가"를 선택 후 원하는 지역의 주소를 입력하면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시지가는 모바일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PC가 없을 때에는 스마트폰 모바일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정부24 모바일 앱을 설치한 후 앱에서 공시지가 조회 메뉴를 선택합니다. 주소를 입력하면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 조회 후 확인할 것

공시지가를 조회하고 끝이 아닙니다. 공시지가는 토지 거래, 상속, 증여, 양도세 등을 계산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공시지가와 실거래가는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비교가 필요하며,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다면 공시지가를 바탕으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는 부동산 관련 세금과 거래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만큼 반드시 조회하고, 이의사항이 있다면 주민센터에 이의신청서를 제출 하도록 해야 합니다.